본문 바로가기

코인 정보/용어 해설(개념만)

지분증명(PoS)에 대해 알아봅니다.

반응형

지분증명 이미지
지분증명 이미지

지분 증명(Proof of Stake : PoS)

개인이 보유한 코인 수에 따라 블록 트랜잭션을 채굴하거나 검증하는 방법으로 작업 증명(Proof of Work)과 상반되는 개념입니다. 즉, 보유한 코인이 많을수록 채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작업 증명(PoW)은 계산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에너지 소비가 필요하지만 지분 증명은 채굴자가 보유한 코인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량이 작업 증명과 비교해 월등히 낮습니다. 

또한, 고사양의 그래픽 카드와 같은 비싼 컴퓨터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랩톱에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채굴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진입 장벽이 훨씬 낮기 때문에 더 많은 사람들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의 원리가 탈중앙화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보안에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다면 전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마이닝 파워(mining power)

지분증명의 마이닝 파워는 스테이킹하는 코인의 양에 따라 다릅니다. 더 많은 코인을 스테이킹하는 참가자는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도록 선택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암호화폐를 스테이킹하는 사람은 누구나 검증자로 선택할 수 있지만 비교적 적은 양을 스테이킹하는 경우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이것이 대부분의  참가자가 스테이킹 풀에 참여하는 이유입니다. 스테이킹 풀의 소유자는 유효성 검사기 노드를 설정하고 새로운 블록을 획득할 더 나은 기회를 위해 코인을 함께 풀링 하며, 발생한 보상은 풀 참가자에게 분배됩니다. 이때 스테이킹 풀의 주인은 약간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장점

 지분증명은 작업 증명에 비해 훨씬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가능하며, 빠르고 저렴하게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또한, 참가를 위해 고가의 장비와 비싼 에너지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됩니다. 

 

단점

보안 측면에서 아직은 작업 증명(PoW)만큼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다른 참가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코인을 스테이킹한 검증인이 있는 경우 거래 검증에 과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지분 증명 암호화폐 중 일부 코인들은 스테이킹된 코인을 일정 시간 동안 인출할 수 없도록 합니다. 

반응형